네트워크 실기 문제들을 인터넷에서 찾아서 푸는 과정 중에 문제 자체가 오류인 건지 아니면 한국 정보통신 자격협회에서 다운로드한 라우터가 오류인지 모르겠지만 오류가 날 때가 많았습니다.
이게 시험 문제를 가져와서 풀이해주는 유튜브/ 블로그 분들이 잘못 가져오신건지 아니면 한국 정보통신 협회에서 라우터 프로그램을 제대로 설계하지 못해서 오류가 나는 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발 제대로된 문제들 좀 가져오고 글을 작성하세요.)
난해한 문제들이 있어서 신규 라우터에 맞게 수정 하였습니다.
도중에 문제가 있거나 이해가 잘 안 가는 부분은 댓글 작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필기는 CBT https://www.comcbt.com/ 여기서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문제 21년도부터 17년도까지 3 회독하고 갔습니다. 필기는 답만 봐도 이게 답이네 하고 맞출 수 있는 정도면 됩니다. 신뢰성을 위해 필기 합격 점수도 올리겠습니다.
라우터 문제
줄임 표현
enable = en / configure terminal = conf t / interface = int
console = con / serial = s / no shutdown = no shut
copy run start = copy r s / exit 두 번 = end
fastethernet = fa , f / secondary = s
줄임 표현은 혹시나 외우기 힘드신 분들이 계실까 봐 작성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en , conf t, copy r s, end 외에 줄임 표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가 수정한 문제를 볼 때는 이 부분 유의해주세요
그리고 제 블로그는 반복학습을 쉽게 하기위해서 기출문제만 모아놨습니다. 그래서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혹시 라우터 문제가 이해안 가시는 분들은 https://blog.naver.com/suako/221843637198 여기 블로그에 가서 확인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만약 명령어가 기억이 안나거나 스펠을 모르겠으면 interface ? , show ? , line ?, enable ? 이런식으로 뒤에 물음표를 붙여 주시면 사용할수 있는 명령어가 나옵니다! 다만 interface나 line 같은 경우는 config 상태에서 가능하고 show 같은 경우는 Router# 상태에서 가능합니다. 이유는 제 생각에는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한 상태?가 되어있어야 라우터가 그걸 인식할수 있는거 같아요 그렇지 않으면 오류가 뜨더라구요!
(제 티스토리에 에뮬레이터 및 케이블/단답형/선택형/ 문제도 정리해 놨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활성화나 로그인 관련해서 문제에 제시되어 있지 않아도 사용을 해야하는지 많이 여쭤보셔서 직접 한국정보통신 자격협회에 문의 한 결과
이렇게 연락을 받았습니다! (21년 12월 9일)
1. ROUTER2의 호스트명을 ICQA로 바꾸고
Console과 Telnet접속 패스워드를 ICQApass로 설정한 후
Enable패스워드는 NETpass, Secret 패스워드는 Netadmin으로 설정
설정된 모든 내용은 NVRAM에 저장
-> en
-> conf t
-> hostname ICQA
-> enable password ENTpass
-> enable secret Netadmin
-> line console 0
-> password ICQApass
-> exit
-> line vty 0 4
-> password ICQApass
-> end
-> copy r s
-> 엔터 (끝)
이 문제에서 나오는 enable은 줄임 표현으로 사용하면 안 됩니다. 또한, 패스워드 대소문자에 유의해주세요.
2. ROUTER1의 Serial 2/0의 IP주소는 192.168.100.1/30와
192.168.101.0 / 24을 갖는다.
또한, 클럭 속도는 64k이며, 대역폭은 2048k이다.
fastEthernet 1/0 장치의 대역폭은 4096 k 이다.
라우터에 설정된 시간의 정보를 출력하세요.
-> en
-> conf t
-> interface serial 2/0
-> ip add 192.168.100.1 255.255.255.252
-> ip add 192.168.101.1 255.255.255.0 secondary
-> clock rate 64000
-> bandwidth 2048
-> exit
-> interface fastethernet 1/0
-> bandwidth 4096
-> end
-> show clock
-> copy r s
-> 엔터
여기서 클럭속도는 clock rate라고 쓰며 64k에서 "k"는 1000을 의미한다. 그래서 64000이 된다.
(1은 센스 것 빼주세요) 단, 대역폭은 k에 절때 000을 넣지 말고 그냥 k만 빼고 쓰세요.
3. ROUTER1의 FastEthernet 0/0의 Description과 ip를 설정하고 활성화하시오.
Description: ICQA / ip: 192.168.0.103/ 24
-> en
-> conf t
-> interface fastethernet 0/0
-> description ICQA
-> ip add 192.168.0.103 255.255.255.0
-> no shutdown
-> end
-> copy r s
-> 엔터
4. ROUTER2에 access-list 1이 설정되어 있을 때, fastethernet 1/0에 적용하시오.
-> en
-> conf t
-> interface fastethernet 1/0
-> ip access-group 1 in
-> ip access-group 1 out
-> end
-> copy r s
-> 엔터
5. Router 1의 Serial 2/0에 frame relay 방식으로 캡슐화 후 활성화하시오
-> en
-> conf t
-> interface serial 2/0
-> encapsulation frame-relay
-> no shutdown
-> end
-> copy r s
-> 엔터
6. 라우터1의 192.168.1.1 네트워크로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하고 FastEthernet 0/0 장치의 IP Address를 192.168.2.1/30 과 192.168.3.1.30로 설정하고 활성화 하시오
-> en
-> conf t
-> ip default-gateway 192.168.1.1
-> interface fastethernet 0/0
-> ip add 192.168.2.1 255.255.255.252
-> ip add 192.168.3.1 255.255.255.252 secondary
-> no shutdown
-> end
-> copy r s
-> 엔터
7. 호스트명을 Branch로 설정하고 Secret 패스워드는 AdminNet으로 설정하고
telnet에 5분 50초 동안 신호가 없을 시 해당 세션을 자동으로 종료하고 console 0 장치의 세션을 3분 30초 동안 신호가 없을 시 해당 세션을 자동으로 종료하도록 라우터를 설정하시오.
처음부터 지금까지 사용한 명령어들의 목록을 출력하시오
-> en
-> conf t
-> hostname Branch
-> enable secret AdminNet
-> line vty 0 4
-> exec-tiemout 05 50
-> exit
-> console 0
-> exec-tiemout 03 30
-> end
-> show history
-> copy r s
-> 엔터
8. Router는 SNMP 통신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network라는 Community값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현재 상태를 NVRAM에 저장하시오.
-> en
-> conf t
-> snmp-server community network
-> end
-> copy r s
-> 엔터
9. 라우터 1의 호스트 네임을 "HOST"로 변경하고 도메인 네임을 AAAA로 설정하시오.
Fastethernet 0/0 장치의 설명을 Network로 추가하십시오.
-> en
-> conf t
->hostname HOST
-> ip domain-name AAAA
-> interface fastethernet 0/0
-> description Network
-> end
-> copy r s
-> 엔터
10. ROUTER1의 DHCP 네트워크를 192.168.100.0/24 서버이름은 'icqa'로 설정하시오..
-> en
-> conf t
-> ip dhcp pool icqa
-> network 192.168.100.0 255.255.255.0
-> end
-> copy r s
-> 엔터
문제 11번부터 14번까지는 저도 정확하게 푸는 방법을 몰라서 답을 외웠습니다. (만약 똑같은 문제가 안 나오면 버려야겠죠..?) 유튜브나 인터넷에 찾아봐도 정확한 이유를 작성하지 않았더라고요 그래도 21년도 이후부터는 출시가 될 확률이 높을 거 같아서 작성했습니다. 이 부분 꼭 유의하고 봐주세요!
관련 유튜브 영상 네트워크관리사 2급 라우터 에뮬레이터 사이트 예제 문제 3번 OSPF 설정 - YouTube
11.
-> en
-> conf t
-> router ospf 1
-> network 192.70.100.0 0.0.0.255 area 1
-> network 193.150.60.0 0.0.0.255 area 1
-> end
-> copy r s
-> 엔터
12. Router ICQA가 라우터 ISP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 내용을 확인해 Roter ICQA에 포트들의 IP & Subnet Mask를 설정하고 활성화 하세요.
Router ICQA를 설정내용을 이용하여 동적 라우팅 유형을 RIP로 설정 하세요.
[설정내용]
ICQA | ISP | |
Fastethernet0/0 | 192.168.1.1/24 | 192.268.2.2/24 |
Serial3/0 | 192.168.2.1/24 | 192.168.3.1/24 |
-> en
-> conf t
-> interface fastethernet 0/0
-> ip add 192.168.1.1 255.255.255.0
-> no shutdown
-> interface serial 3/0
-> ip add 192.168.2.1 255.255.255.0
-> no shutdown
-> exit
-> router rip
-> network 192.168.1.0 0.0.0.255 area 0
-> network 192.168.2.0 0.0.0.255 area 0
-> end
-> copy r s
-> 엔터
13. Router ICQA가 라우터 ISP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 내용을 확인해 Roter ICQA에 포트들의 IP & Subnet Mask를 설정하고 활성화 하세요.
Router ICQA를 설정내용을 이용하여 동적 라우팅 유형을 OSPF로 설정 하세요.
[설정내용]
ICQA | ISP | |
Fastethernet0/0 | 192.168.1.1/24 | 192.268.2.2/24 |
Serial3/0 | 192.168.2.1/24 | 192.168.3.1/24 |
-> en
-> conf t
-> interface fastethernet 0/0
-> ip add 192.168.1.1 255.255.255.0
-> no shutdown
-> interface serial 3/0
-> ip add 192.168.2.1 255.255.255.0
-> no shutdown
-> exit
-> router ospf
-> network 192.168.1.0
-> network 192.168.2.0
-> end
-> copy r s
-> 엔터
14. Router ICQA가 라우터 ISP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 내용을 확인해 Roter ICQA에 포트들의 IP & Subnet Mask를 설정하고 활성화 하십시오.
Router ICQA에 설정 내용을 이행하고 NVRAM으로 저장하시오.
[설정내용]
ICQA | ISP | |
Fastethernet0/0 | 192.168.10.1/24 | 100.10.0.0/16 |
Serial3/0 | 200.10.11.1/30 | 200.10.11.2/30 |
-> en
-> conf t
-> interface fastethernet 0/0
-> ip add 192.168.10.1 255.255.255.0
-> no shutdown
-> interface serial 3/0
-> ip add 200.10.11.1 255.255.255.252
-> no shutdown
-> exit
-> ip route 100.10.0.0 255.255.0.0 200.10.11.2
-> end
-> copy r s
-> 엔터
15. Rip 환경이 구성되어 있을 때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지 않은 목적지로 향하는 패킷은 192.168.10.0 네트워크로 보내도록 Router1에 디폴트 네트워크를 설정하시오.
(단, ip route 0.0.0.0 명령어를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 en
-> conf t
-> ip default-network 192.168.10.0
-> end
-> copy r s
-> 엔터
16. Router1의 Telnet으로 접속할 때 터미널 0 4까지 ssh로 접속 가능하게 설정하시오.
-> en
-> conf t
-> line vty 0 4
-> transport input ssh
-> transport output ssh
-> end
-> copy r s
자주 출제되는 쉬운 라우터 문제
17.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 en
-> show interface
-> copy r s -> 엔터
18.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 en
-> show user
-> copy r s -> 엔터
19. 현재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 en
-> show ip route
-> copy r s -> 엔터
20. 플래시 내용을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 en
-> show flash
-> copy r s -> 엔터
21.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 en
-> show process
-> copy r s -> 엔터
22. 호스트 네임을 ICQA로 변경하라
-> en
-> conf t
-> hostname ICQA
-> end
-> copy r s -> 엔터
23. 소프트웨어 버전과 IOS 버전 등을 확인해라
-> en
-> show version
-> copy r s -> 엔터
24. Serial과 console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 하시오.
-> en
-> show interface
-> copy r s -> 엔터
25. 현재 설정된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 en
-> show running
-> copy r s -> 엔터
26. 현재까지 사용한 명령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 en
-> show history
-> copy r s -> 엔터
'자격증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시험 보기전 꼭 봐야 할 자료 (0) | 2022.01.11 |
---|---|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및 단답형/선택형 문제 정리(케이블 O) (1) | 2021.12.01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에뮬레이터 문제 정리 (2) | 2021.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