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네트워크 관리사 2급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시험 보기전 꼭 봐야 할 자료

나도 오늘부터 개발자?! 2022. 1. 11. 18:51

1. UDP 케이블

① 배선순서 정확한지 확인 후 랜툴로 찝기

② 살짝 잡아당길 때 빠지지 않도록 하기

 

2. 가상윈도우(네트워크속성)

① 이진수를 10진수로 바꿀 때 계산 잘 하기

② 지정한 값 이외는 건드리지 말기

 

3. 가상윈도우(웹서버추가)

① 대소문자 정확하게 구분하여 작성하기

② 드라이브 경로 표시 :(콜론)과 \를 잘 구분하여 입력하기 (세미콜론과 | 역슬래시 조심)

③ 설정 후 저장하지 않은 상태로 끝내지 말기 ( 웹사이트 추가와 FTP 추가의 경우 오른쪽 창에서 설정한 후 왼쪽 창의 타이틀을 꼭 클릭해서 저장하자)

④ 허용과 거부를 등록시에는 "범위"로 등록할 때 "네트워크ID" 즉 네트워크를 대표하는 주소와 마스크 부분에 "서브넷마스크"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어야 함

(예: 특정 IP주소에 192.168.100.0 ~ 255나 192.168.100.0 ~ 192.168.100.255 또는 192.168.100.0 /24와 같이 입력하면 오답처리 됨)

 

4.가상윈도우(FTP사이트추가)

① 문제중에 메시지 항목에서 "접속메시지" 또는 "로그인메시지"는 같은 의미이며, 최대 연결수는 "동접인원"과 같은 내용 실수하지 말기

② 소켓폴링 사용안함을 True로 설정하면 "예(Yes)"의 의미로 소켓풀링 사용 안한다는 뜻이니 유의하기

 

5.가상윈도우(DHCP)

① IP주소 범위 등록시 "임대시간"은 꼭 화살표를 이용해 시간설정

② 마법사 실행시 "DHCP 옵션을 구성합니다."페이지에서 "예, 지금 구성합니다"를 선택하여 진행 할 것 (이렇게 하면 한번에 모든 설정 마무리할 수 있다.)

③ 게이트웨이 설정은 위의 ②를 통해 진행하다 보면 "라우터 기본 게이트웨이"라는 항목에서 설정하면 됨

④ "예약"은 왼쪽 "예약"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선택하고 "새 예약"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6.가상윈도우(DNS)

① Zone(존) 파일의 위치 정보 값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예: 영역이름, 주서버, 책임자 등)

② 새로고침, 재시도, 만료, 최소 TTL설정 시 "초, 분, 시간"단위 설정에 주의

(시간단위 설정시 하나씩 설정하자 그리고 1시간 30분은 90분 설정하기)

③ 정방향조회에 생성된 주소영역이름을 오른쪽 마우스로 선택하면 빠른 메뉴들이 나오며, 해당 메뉴에서 "새호스트", "새별칭", "새MX"를 추가 할 수 있음.

 

7. 가상윈도우(로컬보안정책)

① 문제 지문을 통해 설정해야 할 파일위치 찾기

"암호정책", "계정잠금정책" = 계정과 암호설정과 관련된 항목들이 있음)

"성공", "실패" 또는 "성공 실패"와 같은 문제의 지문에 포함되어 있으면 "감사정책"에서 찾자

"Administrators, users, Operators"와 같이 사용자의 권한과 관련된 항목은 "사용자권한할당"에서 찾자 단, Administrator과 Guest의 사용여부나 이름변경과 관련된 부분은 "보안옵션"에서 찾는다. 

이외에 항목은 모두 "보안옵션"에서 찾을면 됨

② 자주 출제되는 문제 

암호정책의 "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 항목에서 "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 금지"라는 내용으로 자주 출제 된다.

그리고 "금지"라는 항목이 있어서 이 부분을 "사용안함"으로 변경하려고 할 때 이미 "사용안함"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니 이럴때는 수정하지 않으면 된다.

③ 계정잠금정책에서 "계정잠금기간"과 "다음시간 후 계정잠금수를 원래대로 설정"은 동일한 값을 입력하는게 좋다.

단, 지문에서 값을 지정해준 경우는 지정해준 값을 입력하면 됨

 

8. 가상윈도우(서비스관리자)

① 쉬운문제가 나오길 운에 맡기길 바랍니다.

 

10 ~ 15번 단답형 및 선택형

① 제가 작성한 단답형 쭉 공부하면 걱정 안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② IP클래스, 사설망 클래스, OSI계층의 계층별 (역할과 프로토콜, 장비) , TCP와 UDP, IPv4와 IPv6 시간 없으신 분들은 이부분이라도 외우고 가세요 꼭 

 

라우터 문제

① 만약 명령어가 기억이 안나거나 스펠을 모르겠으면 interface ? , show ? , line ?, enable ? 이런식으로 뒤에 물음표를 붙여 주면 사용할수 있는 명령어가 나옴 다만 interface나 line 같은 경우는 config 상태에서 가능하고 show 같은 경우는 Router# 상태에서 가능하다.

② 로그인과 활성화는 지문에 나와있지 않으면 설정 안해줘도 됨 (라우터 문제에 정리해둠)